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울 국제 마라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울 국제 마라톤은 1931년 시작된 대한민국의 마라톤 대회로, 23.3km의 단거리 코스로 시작하여 풀코스 마라톤으로 발전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중단되기도 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부활하여 동아마라톤대회, 서울국제마라톤대회를 거치며 국제적인 대회로 성장했다. 김차환, 이봉주 등 한국 선수들과 마누엘 마티아스, 윌슨 로야나에 등 외국 선수들이 우승했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다. 대회 코스는 광화문광장을 출발하여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마무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알파인 스키 선수권 대회
    세계 알파인 스키 선수권 대회는 국제스키연맹 주관의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로, 1931년 첫 개최 이후 홀수 해에 열리며 활강, 회전, 대회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되고 오스트리아가 메달 순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마라톤 대회 - 대구국제마라톤대회
    대구국제마라톤대회는 2001년에 시작하여 2009년부터 풀코스 마라톤을 도입, 대구광역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국내외 엘리트 선수와 동호인이 참가하는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취소, 2021년에는 가상 이벤트로 대체되었다.
  • 대한민국의 마라톤 대회 - 경주 국제 마라톤
    경주 국제 마라톤은 2000년에 시작하여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으며, 풀코스를 포함한 다양한 코스로 구성되고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의 실버 등급을 받았다.
  • 동아일보사 - 방응모
    방응모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초기에 조선일보를 인수하여 사장이 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광산업과 장학 사업, 간척 사업을 추진하고 잡지 창간 등의 활동을 했으나, 친일 행위와 납북 행적으로 논란이 있다.
  • 동아일보사 - 동아연극상
    동아연극상은 동아일보가 주최하여 대한민국의 연극 발전에 기여한 인물과 작품을 시상하는 연극상이다.
서울 국제 마라톤
지도
기본 정보
종류로드 러닝
거리마라톤
장소서울, 대한민국
시작 연도1931년/1964년/1993년
개최 시기매년 3월 중순
기록
남자2:04:43 (2022년) 모시네트 게레메우(에티오피아)
여자2:18:04 (2022년) 조안 첼리모(루마니아)
스폰서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31년 첫 대회가 시작된 이후, 서울 국제 마라톤은 한국 마라톤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초기에는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으로 인해 중단되기도 했지만, 1953년 재개된 이후 꾸준히 발전해왔다. 특히, 1982년 KBS의 중계 시작과 함께 서울국제마라톤대회를 겸하며 국제적인 대회로 성장했다. 1990년대에는 황영조 선수의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 획득과 같은 쾌거를 이루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2000년대 이후에도 서울 국제 마라톤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2007년 이봉주 선수의 우승은 진보 진영에 큰 기쁨을 안겨주었다.

2. 1. 초기 (1931년 ~ 1940년)

1931년 영등포구에서 제1회 마라손 경주회가 열렸다.[5] 이 대회는 약 23.3km의 순환 코스로 진행되었으며, 한국 최고의 남자 선수 14명이 참가했다. 서울의 김은배가 첫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김은배는 1933년 우승자인 손기정과 함께 올림픽 마라톤에 출전했지만, 당시 한국이 일제강점기였기 때문에 일본 국기를 달고 출전해야 했다.[5]

1937년 동아일보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의 마라톤 우승 기사에 일장기를 삭제하는 사건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일제는 신문 발행과 마라톤 대회 개최를 모두 중단시켰다.[6] 1938년부터 1940년까지는 대회가 다시 열렸지만,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으로 인해 다시 중단되었다.

2. 2. 재개와 발전 (1953년 ~ 1980년)

1931년 시작된 서울 국제 마라톤은 1939년 동아일보가 인수하여 주최하였으나, 1940년 일제의 탄압으로 중단되었다.[5] 한국 전쟁 이후인 1953년 '경영간 단축마라톤'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하였다.[5]

1964년에는 '동아마라톤대회'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이 해에 처음으로 공식 풀코스 마라톤이 열렸다. 1965년 이명정이 한국 기록을 세우며 우승하고, 1966년 김봉래가 2시간 20분 이내로 달린 최초의 한국 선수가 되었다.[5]

1970년 대회에는 캐나다의 론 월링포드와 두 명의 일본 선수가 참가하여 처음으로 국제 경쟁이 이루어졌다. 김차완은 이 대회에서 2:17:34.4의 한국 기록을 세우며 우승하였다. 김차완은 1973년 자신의 기록을 다시 경신했고, 1970년대에 4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동아 마라톤 최다 우승자가 되었다.[6][5]

1977년에는 일본의 마스다 도요이치가 최초의 외국인 우승자가 되었고, 1979년에는 그의 동료 마츠자키 마코토가 우승을 차지했다. 1979년에는 여자 10km 경주가 추가되었고, 문기숙이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5]

2. 3. 국제화와 전성기 (1981년 ~ 2000년)

1982년 KBS가 중계를 시작하면서 '''서울국제마라톤대회'''를 겸하여 개최되었다.[6] 이 해에는 국내 및 국제 경주가 동시에 열렸으며, 결과는 부문별로 분리되었다.[6] 임은주는 1981년에 여자 30 km 경주에서 우승했고, 이듬해 여성 선수들도 풀코스 마라톤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6] 임은주는 1983년부터 1985년까지 3번 연속 마라톤 타이틀을 차지했다.[5]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서울1983년부터 1987년까지 별도의 국제 경주를 개최했다. (이것은 IAAF 세계 마라톤컵 경주였다).[7] 1987년 이장희는 남자부에서 2시간 12분대의 기록을 달성했다.[5]

1990년에는 김원탁이 남자부에서 2시간 11분 38초의 기록을 세웠고, 그 해 경주 내에서 아시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8] 1991년 서울 대회 우승자인 황영조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8] 김완기는 1993년에 한국 기록을 2시간 9분 25초로 단축했다.[6]

이 마라톤은 1992년 행사를 위해 춘천으로 옮겨졌고, 1993년부터 1999년까지 7년간 경주에서 열렸다. 2000년에 서울로 돌아왔지만,[6] 이 도시에서의 영향으로 경주 국제 마라톤이 창설되었다.[9]

1994년부터는 대회의 국제적인 성격이 더 강화되었고, '''동아 국제 마라톤'''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2개국 선수들을 초청한 후, 포르투갈의 마누엘 마티아스가 한국과 일본 이외의 국가 출신으로는 최초의 우승자가 되었다.[5]

2. 4. 2000년대 이후

2000년, 서울 국제 마라톤은 다시 서울로 코스를 복귀하며 3년 만에 국제대회로 부활했다. 같은 해, 경주에서는 '''동아일보 경주오픈마라톤'''이 신설되었다.[6]

2002년에는 중국의 웨이 야난이 여자부문에서 2시간 25분 06초로 코스 최고 기록을 5분 이상 단축하며 우승했다.[6] 같은 해, 저우 춘시우는 2시간 19분 51초로 여자부문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2시간 20분 이내로 완주한 역대 7번째 여성의 기록이었다.[11]

거트 티스는 2003년과 2004년에 연달아 우승했고, 2004년에는 2시간 7분 6초의 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2006년 세 번째 우승은 금지 약물인 노란드로스테론 양성 반응으로 무효 처리되었다.[6] 준우승자 제이슨 음보테가 우승자로 선언되었지만, 오랜 법적 분쟁 끝에 티스는 시료 처리 방식의 규칙 위반으로 2012년에 금지령이 번복되었다.[10]

2007년에는 이봉주 선수가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진보 진영의 염원을 담은 쾌거로 평가받을 만하다.

2010년에는 케냐의 실베스터 테이메트가 2시간 6분 49초로 남자부문 기록을 경신하며 우승했다.[6] 2012년에는 윌슨 로야네가 2시간 5분 37초로 남자부문 기록을 1분 이상 단축했다.[12]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되었고, 모든 참가자들은 전액 환불을 받았다.[13][14]

3. 코스

코스는 도시의 한강 다리를 건너간다.


서울 국제 마라톤의 코스는 광화문광장에서 시작하여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끝나는 지점 간 코스로, 도시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남동쪽으로 이어진다.[15][16] 광화문광장을 출발한 후 세종대로를 따라 이순신 동상을 지나고, 숭례문청계천 공원을 거쳐 동대문구를 통과한 뒤 한강을 건너 올림픽 주경기장에 도착한다.[17]

1931년 첫 대회가 열렸고, 1939년부터 동아일보가 주최하고 있다. 1940년 조선총독부의 명령으로 중단되었다가 1953년 단축 마라톤으로 부활, 1964년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 1982년부터 KBS 텔레비전에서 처음으로 실황 생중계를 시작했고, 한때 춘천, 경주에서 개최되기도 했지만 2000년부터 다시 서울에서 개최되고 있다. 세계 육상 연맹 골드 라벨 로드 레이스[19]로 지정되었으며, 2016년부터 채널A에서 방영하고 있다. 2020년에는 월드 애슬레틱스 플래티넘 라벨 레이스로 인증되었다.

3. 1. 초기 코스

경기는 광화문광장에서 시작하여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끝난다.[15][16] 코스는 도심을 통과하여 남동쪽으로 이어지는 지점에서 지점까지의 형태이다. 주 광장을 출발한 후, 세종대로를 따라 이순신 동상을 지나간다. 그 후, 숭례문을 지나 청계천 공원을 통과한다. 경로는 동대문구를 통과한 후 한강을 건너 경기장 결승점을 향한다.[17]

3. 2. 현재 코스

경기는 도심의 광화문광장에서 시작하여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끝난다.[15][16] 코스는 지점에서 지점까지의 형태로 도심을 통과하여 남동쪽으로 이어진다. 주 광장을 출발한 후, 경로는 세종대로로 흘러가 이순신 동상을 지나간다. 그 후, 선수들은 숭례문을 지나 청계천 공원을 통과한다. 경로는 동대문구를 통과한 후 한강을 건너 경기장 결승점을 향한다.[17]

4. 역대 우승자

서울 국제 마라톤의 역대 우승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준 마라톤 (25km) ===

1931년부터 25km 거리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1931년 김은배가 23.2km 구간에서 1시간 25분 05초로 우승했고, 1932년 변용환이 1시간 21분 25초, 1933년에는 손기정이 24.0km 구간을 1시간 24분 03초에 달려 우승했다.[1]

손기정은 올림픽 마라톤 우승 3년 전인 1933년에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일제강점기6.25 전쟁으로 인해 대회가 중단되었다가 1954년에 재개되어, 임종우가 1시간 23분 43초로 우승하며 10위까지 대회신기록을 세웠다.[1] 임종우는 1955년에도 우승하며 대회 첫 2연패를 달성했다.[1] 1956년에는 한승철이, 1957년에는 이창훈이 대회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1]

1959년 이상철이 1시간 20분 12초로 대회신기록을 세웠으며,[1] 1963년까지 대회가 이어졌다.

회차연도남자 우승자시간 (시:분:초)
1회1931김은배1:25:05
2회1932변용환1:21:25
3회1933손기정1:24:03
4회1934유장춘1:20:34
5회1935이태우1:22:45
6회1936오동우1:20:11
7회1938유관흥1:29:09
8회1939지영룡1:28:12
9회1940현정효1:29:02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으로 인해 1941년부터 1953년까지 미개최
10회1954임종우1:23:43
11회1955임종우1:23:16
12회1956한승철1:21:42
13회1957이창훈1:20:28
14회1958오춘택1:21:15
15회1959이상철1:20:12
16회1960차대만1:20:17
17회1961강양태1:19:55
18회1962한재덕1:18:54
19회1963김봉내1:21:53



=== 마라톤 (풀코스) ===

1964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풀코스 마라톤 역대 우승자는 다음과 같다.

횟수연도남자기록여자기록주석 및 기타
201964년이창훈2:27:13.8풀코스로 변경
211965년이명정2:21:21.6
221966년김복래2:19:07
231967년유명종2:19:44광화문∼오류동 코스
241968년김봉래2:19:42.9
251969년송금용2:20:28
261970년김차환2:17:34.4대한민국 최고 기록
271971년조재형2:19:15.8
281972년김차환2:19:34.4
291973년김차환2:17:01한국 최고 기록
301974년문흥주2:16:15
311975년문흥주2:21:09.6
321976년박원근2:18:20
331977년마쓰다 도요이치2:18:40
341978년박원근2:17:01
351979년마쓰자키 마코토2:17:18문기숙— (10 km)
361980년사토 쓰쓰무2:16:46미상
371981년이홍렬2:21:23.4임은주2:02:08 (30 km)
381982년김종윤2:16:58안춘자3:01:50한강변 순환코스
391983년채홍락2:16:33임은주2:48:13여자부 풀코스 첫 실시
401984년이홍렬2:14:59임은주2:39:48남자부 2위까지 대한민국 신기록
411985년유재성2:15:48임은주2:45:06
421986년유재성2:14:06김미경2:40:41
431987년이종희2:12:21안영옥2:41:50
441988년김원탁2:12:41이미옥2:33:14한강변 코스
451989년임정태2:15:18이미옥2:39:27
461990년김완기2:11:38이미옥2:37:15
471991년김재룡2:12:35이미옥2:41:43
481992년김재룡2:09:30이미옥2:36:44
491993년김완기2:09:25정영임2:45:52
501994년마누엘 마티아스2:08:33이미경2:35:44
511995년이봉주2:10:58이미경2:38:08
521996년마르틴 피스2:08:25오미자2:30:09
531997년아벨 안톤2:12:37방선희2:43:40
541998년김이용2:12:24오미자2:37:16
551999년형재영2:11:34오정희2:35:11
562000년정남균2:11:29박고은2:33:06서울~잠실 도심 코스
572001년조시아 벰베2:11:49윤선숙2:32:09
582002년후지타 아쓰시2:11:22웨이야난2:25:06
592003년거트 타이스2:08:42저우춘슈2:23:18
602004년거트 타이스2:07:06이은정2:26:17
612005년윌리엄 킵상2:08:53저우춘슈2:23:24
622006년거트 타이스2:10:40저우춘슈2:19:51
632007년이봉주2:08:04웨이야난2:23:12
642008년새미 코리르2:07:32장슈징2:26:11
652009년모세스 키멜리 아루세이2:07:54로베 톨라 구타2:25:37
662010년실베스터 테이메트2:06:49아메인 고베나2:24:13
672011년아브데라힘 굼리2:09:11로베 톨라 구타2:26:51
682012년윌슨 로야나에 에루페2:05:37페이세 타데세2:23:26
692013년프랭클린 쳅쿼니2:06:59플로메나 쳅치르치르2:25:43
702014년야코브 자소2:06:17헬라 킵롭2:27:29



스페인의 아벨 안톤


윌리엄 킵상


중국의 저우춘슈


2008년 대회


2008년 응원단

4. 1. 준 마라톤 (25km)

1931년부터 25km 거리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1931년 김은배가 23.2km 구간에서 1시간 25분 05초로 우승했고, 1932년 변용환이 1시간 21분 25초, 1933년에는 손기정이 24.0km 구간을 1시간 24분 03초에 달려 우승했다.[1]

일제강점기6.25 전쟁으로 인해 대회가 중단되었다가 1954년에 재개되어, 임종우가 1시간 23분 43초로 우승하며 10위까지 대회신기록을 세웠다.[1] 임종우는 1955년에도 우승하며 대회 첫 2연패를 달성했다.[1] 1956년에는 한승철이, 1957년에는 이창훈이 대회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1]

1959년 이상철이 1시간 20분 12초로 대회신기록을 세웠으며,[1] 1963년까지 대회가 이어졌다.

회차연도남자 우승자시간 (시:분:초)
1회1931김은배1:25:05
2회1932변용환1:21:25
3회1933손기정1:24:03
4회1934유장춘1:20:34
5회1935이태우1:22:45
6회1936오동우1:20:11
7회1938유관흥1:29:09
8회1939지영룡1:28:12
9회1940현정효1:29:02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으로 인해 1941년부터 1953년까지 미개최
10회1954임종우1:23:43
11회1955임종우1:23:16
12회1956한승철1:21:42
13회1957이창훈1:20:28
14회1958오춘택1:21:15
15회1959이상철1:20:12
16회1960차대만1:20:17
17회1961강양태1:19:55
18회1962한재덕1:18:54
19회1963김봉내1:21:53


4. 2. 마라톤 (풀코스)

1964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풀코스 마라톤 역대 우승자는 다음과 같다.

횟수연도남자기록여자기록주석 및 기타
201964년이창훈2:27:13.8풀코스로 변경
211965년이명정2:21:21.6
221966년김복래2:19:07
231967년유명종2:19:44광화문∼오류동 코스
241968년김봉래2:19:42.9
251969년송금용2:20:28
261970년김차환2:17:34.4대한민국 최고 기록
271971년조재형2:19:15.8
281972년김차환2:19:34.4
291973년김차환2:17:01한국 최고 기록
301974년문흥주2:16:15
311975년문흥주2:21:09.6
321976년박원근2:18:20
331977년마쓰다 도요이치2:18:40
341978년박원근2:17:01
351979년마쓰자키 마코토2:17:18문기숙— (10 km)
361980년사토 쓰쓰무2:16:46미상
371981년이홍렬2:21:23.4임은주2:02:08 (30 km)
381982년김종윤2:16:58안춘자3:01:50한강변 순환코스
391983년채홍락2:16:33임은주2:48:13여자부 풀코스 첫 실시
401984년이홍렬2:14:59임은주2:39:48남자부 2위까지 대한민국 신기록
411985년유재성2:15:48임은주2:45:06
421986년유재성2:14:06김미경2:40:41
431987년이종희2:12:21안영옥2:41:50
441988년김원탁2:12:41이미옥2:33:14한강변 코스
451989년임정태2:15:18이미옥2:39:27
461990년김완기2:11:38이미옥2:37:15
471991년김재룡2:12:35이미옥2:41:43
481992년김재룡2:09:30이미옥2:36:44
491993년김완기2:09:25정영임2:45:52
501994년마누엘 마티아스2:08:33이미경2:35:44
511995년이봉주2:10:58이미경2:38:08
521996년마르틴 피스2:08:25오미자2:30:09
531997년아벨 안톤2:12:37방선희2:43:40
541998년김이용2:12:24오미자2:37:16
551999년형재영2:11:34오정희2:35:11
562000년정남균2:11:29박고은2:33:06서울~잠실 도심 코스
572001년조시아 벰베2:11:49윤선숙2:32:09
582002년후지타 아쓰시2:11:22웨이야난2:25:06
592003년거트 타이스2:08:42저우춘슈2:23:18
602004년거트 타이스2:07:06이은정2:26:17
612005년윌리엄 킵상2:08:53저우춘슈2:23:24
622006년거트 타이스2:10:40저우춘슈2:19:51
632007년이봉주2:08:04웨이야난2:23:12
642008년새미 코리르2:07:32장슈징2:26:11
652009년모세스 키멜리 아루세이2:07:54로베 톨라 구타2:25:37
662010년실베스터 테이메트2:06:49아메인 고베나2:24:13
672011년아브데라힘 굼리2:09:11로베 톨라 구타2:26:51
682012년윌슨 로야나에 에루페2:05:37페이세 타데세2:23:26
692013년프랭클린 쳅쿼니2:06:59플로메나 쳅치르치르2:25:43
702014년야코브 자소2:06:17헬라 킵롭2:27:29



참조

[1] 간행물 Kiplagat takes 2:08 course record victory in Seoul http://www.iaaf.org/[...] IAAF 2005-11-07
[2] 웹사이트 World Athletics Platinum Label Road Racing https://www.worldath[...] IAAF 2011-03-19
[3] 웹사이트 Longest Running Road Races https://www.arrs.run[...] Association of Road Racing Statisticians 2011-03-08
[4] 뉴스 Dong-A Seoul Int`l Marathon ready to join world`s elite http://english.donga[...] Dong-A Ilbo 2010-03-08
[5] 웹사이트 History http://marathon1.don[...] 2024-06-25
[6] 웹사이트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https://www.arrs.run[...] Association of Road Racing Statisticians 2010-03-23
[7] 웹사이트 IAAF World Cup Marathon https://www.arrs.run[...] Association of Road Racing Statisticians 2011-03-09
[8] 웹사이트 Asian Championships Marathon https://www.arrs.run[...] Association of Road Racing Statisticians 2013-03-02
[9] 뉴스 Kenyan Marathoners Sweep Gyeongju Marathon http://english.donga[...] The Dong-a Ilbo 2007-10-22
[10] 간행물 Court Clears South African Marathoner Gert Thys http://running.compe[...] Competitor 2012-01-13
[11] 간행물 Zhou Chunxiu becomes seventh woman to run a sub-2:20 Marathon http://www.iaaf.org/[...] IAAF 2006-03-14
[12] 간행물 Loyanae cruises 2:05:37 to shatter course record in Seoul http://www.iaaf.org/[...] IAAF 2012-03-18
[13] 웹사이트 서울마라톤 https://seoul-marath[...]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0-03-03
[15] 웹사이트 2011 Seoul International Marathon Information http://marathon.dong[...] Dong-A Marathon 2011-03-19
[16] 뉴스 World-class runners to compete in Sunday's Seoul Int'l Marathon http://www.koreahera[...] 2012-03-14
[17] 웹사이트 Course Map http://marathon.dong[...] Dong-A Marathon 2011-03-19
[18] 웹사이트 AIMS 1982–2007: 25 Years of Running History http://aimsworldrun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Marathons and Distance Races 2007
[19] 간행물 Kiplagat takes 2:08 course record victory in Seoul http://www.iaaf.org/[...] IAAF 2005-11-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